합리적인 가격에 퀄리티가 높은 한국 제품들은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습니다. 이커머스와 SNS의 발달로 국경이 사라진 지금, 그 인기는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인기를 악용하는 무허가 판매 사례들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무허가 판매는 출처가 불분명한 제품을 허가받지 않은 사람이 유통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위조 상품일 수도 있고 정품을 무단으로 판매하는 경우일 수도 있습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위조상품 및 무허가 판매 등의 활동들을 제재하고 소비자와 브랜드를 보호할 수 있는 전략에 대해 자세히 다뤘습니다.
동남아에서 불어오는 K푸드 열풍
한국에서 인기 있는 제품들이 해외에서도 큰 수요를 일으키고 있으며, 특히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K푸드의 인기가 높습니다. 하지만 이로 인해 다양한 위조·모방품들이 출현하고 있습니다.
초코파이? 초카파이? 철자만 하나 다른 위조상품
베트남에서는 초코파이가 제사상에 오를 정도로 인기가 많습니다. 이처럼 초코파이는 베트남에서 한국 문화를 대표하는 간식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하지만 도매 거리에 들어가 보면 'Choco-Pie' 대신 'Choca-Pai'와 같은 위조 상품들이 쉽게 발견됩니다. 이러한 가품들은 한국의 브랜드인 초코파이와 유사한 붉은색 상자와 디자인을 가지고 있으며, 영어 철자도 비슷하게 바꾸어 놓아 소비자들이 쉽게 혼동할 수 있게 만드는데요. 또 다른 예시로는 한국 기업 오리온(Orion)을 오레온(Oreon)으로, 초코파이를 추코파이(Chooco-Pie)나 초쿠파이(Chocoo-Pie) 로 판매하는 등 다양한 무허가 판매 문제들이 존재합니다. 이는 주로 동남아시아의 위조상품 제작 업체들은 지식재산권(IP) 문제를 피하기 위해 상표명을 조금씩 변형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소비자들에게 건강상의 위험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한국 브랜드의 프리미엄 이미지를 훼손시킵니다.
소주 : 초록색 병과 라벨지도 유사한 가품
베트남에서는 참이슬을 비롯한 한국 소주가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현지에서는 과일 소주를 이용한 다양한 칵테일이 유행하며, 미국인 관광객들까지도 소주를 즐기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한국 드라마의 영향으로 소주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졌고, 특히 2030세대들이 주로 소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기는 위조 소주의 등장으로 이어졌는데요. 가품 소주는 정품보다 30% 저렴하게 판매되며, 외형적으로도 초록색 병과 색상, 라벨 디자인이 정품과 거의 동일합니다. 딸기, 자몽, 복숭아, 포도 등 다양한 맛과 13도의 도수까지도 정품과 동일하게 만들어져 소비자들을 혼란스럽게 합니다. 이러한 가품은 맛과 품질이 떨어져 한국 소주 브랜드의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라면 : 언뜻 보면 정식 제품처럼 위장한 위조상품
불닭볶음면은 한국 라면 브랜드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특히 카디비가 사랑한 불닭볶음면 로제맛은 SNS에서 화제가 되면서 그 인기가 더욱 높아졌는데요. 하지만 이러한 인기를 악용한 위조 상품인 라면들도 많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태국 방콕의 한 편의점에서는 '한국 불닭 맛'이라는 한국어가 새겨진 제품이 판매되고 있으며, 이는 태국 업체가 제조한 가품입니다. 이 위조 상품은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과 비슷한 일러스트와 색상을 사용하여 소비자들이 정품으로 착각하게 만듭니다. 일본의 닛신 라면 회사 역시 삼양식품의 디자인을 모방한 제품을 만들어 논란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위조품들은 정품보다 저렴한 가격에 판매되며, 한국 라면 브랜드의 프리미엄 이미지를 훼손시키고 있습니다.
앞서 언급된 제품들인 초코파이, 소주 등과 같이 현지에 공식으로 수입되는 제품보다 가격을 훨씬 더 저렴하게 하여 한국 브랜드의 프리미엄 이미지를 훼손하고 소비자들을 위험에 노출시키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가품들이 제작되고 있습니다. 과자부터 과일까지 한국산으로 오인 표기되어 판매되는 제품들을 제재하고 브랜드 보호하는 것이 더욱 시급한 상황입니다.
그러나 위조상품 제작과 판매만으로도 기업에서는 골치 아픈 상황이지만 온라인 브랜드 보호를 위한 법적 대응 방법도 마땅치 않습니다. 예를 들어 삼양 식품의 불닭볶음면의 가품을 발견해 법적 대응을 진행하려 해도 '불닭'은 음식 명칭이기 때문에 '한국 불닭 맛'이라고 명시했다고 해서 상표권을 내세워 법적 제재를 가하기 어렵습니다. (출처 : KPI뉴스) 브랜드 보호하기 위해서는 브랜드사에서 수출하는 공식 제품에 한국 국기와 'Korea' 표기와 QR 코드 등의 차별점을 두어 소비자가 한국산과 위조상품을 구별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건강과 위생을 책임지는 건강기능식품(건기식)과 생활필수품
건강기능식품과 생필품 역시 무허가 판매와 위조상품 문제에서 자유롭지 않습니다. 각 품목별로 어떻게 브랜드를 보호하고 있는지 알아보세요.
건강기능식품 : 위조상품 판매
건강기능식품(이하 건기식)은 영양제부터 홍삼까지 다양한 제품을 포함합니다. 올해부터 정부는 1년간 건기식의 중고 거래를 허용했지만, 이로 인해 품질 이슈와 시장 성장 제한 등의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건강기능식품의 경우, 원재료의 함량을 변형하거나 식품에 사용할 수 없는 원료를 이용한 위조 상품 판매 사례가 많습니다.
명절에는 선물용으로 수요가 증가하면서 포장 겉면에 '건강기능식품' 문구나 인정 마크가 없는 가품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는데요. 식약처는 이러한 위조상품을 방지하기 위해 과학적인 절차와 조사 방법으로 유통되는 건강기능식품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절차를 거친 제품에는 해당 문구나 마크가 표기되어 있어, 인체 기능성과 안정성 평가를 통과했음을 의미합니다. 소비자들은 '건강기능식품' 문구나 마크를 확인하고, 허위·과대광고에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해외 제품을 직구로 구매할 때는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은 경우도 많으므로 더욱 신중해야 합니다.
생필품 : 무허가 판매
생필품의 무허가 판매 문제는 특히 심각합니다. 소비자들은 정기적으로 사용하는 생필품을 값싼 가격에 구매하려고 여러 플랫폼을 비교하곤 합니다. 이로 인해 오픈마켓에서는 비공식 판매처에서 출처가 불분명한 제품들이 판매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비공식 판매처들은 브랜드의 제품 이미지를 그대로 사용하여 소비자들을 혼란스럽게 만듭니다. 또한 세일 기간에 대량으로 구매한 제품을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에서 재판매하는 등의 방식으로 생필품이 허가받지 않은 사람이 판매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행위는 브랜드 가치에 큰 타격을 줄 수 있으며, 소비자들은 언제 구매가 되었는지 모르는 출처가 불분명한 제품들을 구매해 사용 경험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브랜드 보호와 소비자를 지키기 위해 브랜드사에서는 재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다량구매를 모니터링하거나 여러 플랫폼에서의 판매채널도 지속적으로 파악해야 합니다.
위조상품과 무허가 판매를 방지하기 위한 브랜드 보호 전략
각 브랜드에서는 가품과 무허가 판매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푸드 제품의 경우 패키징을 리뉴얼하거나 인증 마크를 추가하는 등 변화를 주고 있으며, 건기식의 경우 인증 마크와 문구를 확인할 수 있는 ‘내손안' 앱 사용을 소비자들에게 제안하고 있습니다. 어플 정보 및 다운로드 링크는 여기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소비자가 직접 정, 가품을 구분하여 구매 결정을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소비자는 직접 정품과 가품의 차이를 구분하기는 어렵습니다. 소비자의 신고를 통해 브랜드 또한 몰랐던 위조상품의 유통채널을 파악하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브랜드사는 온라인 유통 채널의 통제권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8월부터 마크비전에서는 가품 근절을 위한 ‘No More Fake’ 캠페인을 시작하여 브랜드와 소비자들이 위조상품과 관련된 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고객 신고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입니다. ‘No More Fake’ 캠페인을 통해 소비자와의 신뢰를 굳히고 악성 셀러에게는 가품 근절과 신고라는 확실한 경고 메시지를 보내세요.
캠페인 전 우리 브랜드의 IP 침해 현황을 무료로 확인해 보세요.
뉴스레터 구독하기
온라인 비즈니스 성장에 필요한 콘텐츠와 업계 트렌드를 격주에 한 번 메일로 받아보세요.